티스토리 뷰

목차



    혹시 당신도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의 칠순, 환갑, 팔순 잔치를 준비하고 있나요? 그런데 도대체 몇 년도에 해당하는지 헷갈리지는 않으신가요? 특히 만나이 통일 이후 더 혼란스러워진 나이 계산, 이 글을 통해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미리 정확히 계산해두면 잔치 날짜를 잡을 때도 훨씬 수월하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한눈에 보는 환갑, 칠순, 팔순 기념 나이 정리 표

     

     

     

     

     

    기념 나이계산법기준 나이예시 (2025년)

    환갑 출생연도 + 60 한국나이 61세, 만 60세 1965년생 → 2025년
    칠순 출생연도 + 69 한국나이 70세, 만 69세 1956년생 → 2025년
    팔순 출생연도 + 79 한국나이 80세, 만 79세 1946년생 → 2025년



    왜 아직도 칠순, 환갑, 팔순은 한국식 나이로 계산할까요?

     

    2023년 6월 28일부터 모든 법령과 공문서에 표기되는 나이는 ‘만나이’로 통일됐죠. 하지만 칠순, 환갑, 팔순 같은 전통 잔치는 아직도 대부분 ‘한국식 나이(연나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유는 간단해요. 우리 조상 대부터 이어온 잔치 문화가 연나이를 기준으로 해왔기 때문이죠. 그래서 지금도 이런 잔치를 준비할 때는 만 나이가 아닌 한국식 나이 계산법을 사용한답니다.



    환갑(還甲), 육십갑자가 돌아오는 해

     

    환갑은 한자로 ‘돌 환(還)’ 자에 ‘갑(甲)’, 즉 육십갑자가 다시 돌아오는 해를 기념하는 것을 뜻해요. 태어난 해의 간지가 60년 만에 돌아오면 그때를 환갑이라 부르죠. 우리나라에서는 이때 가족과 친지를 불러 모아 성대히 잔치를 벌이며 건강과 장수를 기원해요.

     

    계산법: 출생연도 + 60 = 환갑해
    예시: 1965년생 → 1965 + 60 = 2025년 환갑
    기준나이: 한국나이로 61세, 만 나이로 60세 되는 해



    칠순(七旬, 고희), 일흔을 맞이하는 해

     

    칠순은 흔히 ‘고희연(古稀宴)’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가 “인생 칠십 고래희”라고 읊어 ‘70세가 되기 힘들다’는 뜻에서 유래됐어요. 그래서 예전에는 칠순 잔치가 더 성대했답니다. 요즘은 수명이 늘어 팔순, 구순도 많이 하지만, 그래도 칠순은 여전히 큰 의미가 있죠.

     

    계산법: 출생연도 + 69 = 칠순해
    예시: 1956년생 → 1956 + 69 = 2025년 칠순
    기준나이: 한국나이로 70세, 만 나이로 69세



    팔순(八旬, 산수연), 여든을 축하하는 날

     

    팔순은 흔히 ‘산수연(傘壽宴)’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산(傘) 자가 팔십(八十)과 닮았다고 해서 생긴 말이에요. 팔순은 예전에는 거의 전설 같았지만, 이제는 80세 넘은 어르신들도 많아졌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순은 한 집안의 큰 경사로 여겨져 성대한 잔치를 벌이곤 합니다.

     

    계산법: 출생연도 + 79 = 팔순해
    예시: 1946년생 → 1946 + 79 = 2025년 팔순
    기준나이: 한국나이로 80세, 만 나이로 79세



     

    이런 잔치, 만 나이 아닌 한국식 나이(연나이)로 하는 이유

     

    환갑, 칠순, 팔순은 사실 법적으로는 의미가 없어요. 완전히 ‘관습’에 따라 치르는 행사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만나이를 따질 필요는 없죠. 그렇지만 친척들 모임에서 “올해 칠순이라더라~” 할 때 대부분 연나이를 기준으로 이야기하기 때문에 헷갈리지 않으려면 반드시 한국식 나이로 계산해야 합니다.



     

     

     

     

    Q&A



    Q. 우리 아버지가 1956년생인데 올해 칠순 맞나요?
    맞습니다! 1956 + 69 = 2025년, 즉 올해 칠순 잔치를 준비하시면 딱 좋아요.

     

    Q. 만나이로 하면 언제가 칠순인가요?
    만나이로는 생일을 기준으로 69세가 되는 해에 칠순이지만, 전통적으로는 한국식 나이(연나이) 70세를 맞이하는 해를 칠순으로 봅니다.

     

    Q. 팔순도 만나이가 아닌 연나이 기준인가요?
    네, 맞아요. 팔순, 환갑, 칠순 모두 연나이(한국식 나이) 기준으로 잔치를 합니다.

     

    Q. 계산이 너무 헷갈리는데,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출생연도에 각각 60, 69, 79를 더하면 환갑, 칠순, 팔순 해를 쉽게 알 수 있어요. 또는 만나이 계산기를 활용하세요!



    마무리하며

     

    이제 더 이상 칠순, 환갑, 팔순 잔치 준비할 때 혼란스러워하지 마세요. 출생연도에 간단히 더하기만 하면 되니 정말 쉽죠? 특히 부모님이나 조부모님께 깜짝 이벤트를 준비하실 때도 정확한 해를 알고 있어야 더 감동적인 순간을 만들어 드릴 수 있답니다. 오늘 당장 만나이 계산기를 통해 연나이까지 확인해보세요. 하루라도 더 빨리 준비하면 훨씬 더 여유롭게 좋은 잔치를 계획할 수 있어요. 

     

    더보기
    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
    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
    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
    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
    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
    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
    칠순 환갑 팔순 나이계산